자주찾는 검색어


-
축제기간
2024. 3. 29.(금) ~ 31.(일)
-
축제장소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지산동고분군, 대가야문화누리, 대가야박물관,왕릉전시관 등 고령군 일원

-
운영시간 및 문의전화
09:00 ~ 18:00 / 054.950.7180
-
주소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신남로 81

-
문의전화
054-950-7005,7030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
주소
경북 고령군 대가야로1216 (지산리 471-1)
고령군의 관광지를 체험한 관광객들이 남기는 이색적인 체험후기를 만나보세요!
-
[우리동네 이모저모] 우곡면 도진리 산 중턱에 위치한 사찰 청룡사
고령군 도진리에 있는 경치가 좋은 청룡사절을 소개해 드릴려고 해요 청룡사절은 다른 사찰보다 조금 더 높은 산쪽 중턱에 위치하고 있어서 경치도 좋고 조용해서 좋은거 같아요 그리고 다른 절과 다르게 법당안에 큰 바위가 있어요 큰바위에 법당 중간에 딱 박혀 있어서 신기하더라고요 산위에 있는 청룡사절이라 경치가 너무 좋아요 공기도 좋고 올라오는 길이 예쁘더라고요 장독대 가득 장들이 담겨져 있고 조용하게 둘러보기 좋은거 같아요 절 중간에는 석탑이 세워져 있어요 고령 청룡사는 보기 드문 북향 사찰이에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 사찰~ 청룡사는 1950년 곽상진에 의해서 창건되었다고 해요 1997년에 원효종에서 태고종으로 종단이.......
-
[고령 카페] 박물관에 온 듯 돌문화 공간까지 놀라운 <아두망>
경북 고령군 운수면에 오픈한지 한 달도 안되었지만 돌문화 공간까지 갖춘 박물관 느낌의 고령 신상 카페 아두망에 다녀왔습니다. 입구에서부터 커다란 돌에 적힌 카페 아두망이라는 글자가 경이로울 정도로 느껴졌는데 안으로 들어갈수록 다양한 돌 조형물을 구경할 수 있어서 이 곳이 어떤 공간인지 무척 궁금했어요. 이 곳 보광석조원은 약 60년 세월 석공예에 매진한 석장 김한열과 보광석재의 발자취를 기록한 우리돌 문화공간이라고 합니다. 그가 사찰 및 전통문화재에 전문하여 일군 보광석재는 아두망과의 협업을 통해 이색적인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우리의 석공예와 전통 돌문화를 알리고 석재산업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도울 거.......
-
[우리동네 이모저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위원장 김상덕선생 69주기 추모식 현장~
고령군에는 김상덕 선생 기념사업회가 있습니다. 대가야의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위원장 영주 김상덕선생 추모식 현장속으로 가봅니다. 지난 4월 28일, 고령군 주산 입구에 위치한 김상덕 선생 기념비 앞에서 제69주기 김상덕 선생 추모식을 올렸습니다. 바람이 다소 차가웠지만, 그날은 유독 하늘이 맑고 햇살이 고왔습니다. 아마도 김상덕 선생께서 하늘에서 우리를 내려다보며 "내가 아직 잊히지 않았구나" 하시며 기뻐하신 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영주 김상덕 선생, 그 이름을 다시 새기다 김상덕(1891~1956) 선생은 1919년 2월 8일 일본 동경에서 일제의 침략에 항거하여 2.8 독립선언에 참여하셨고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
-
[우리동네 이모저모] 대가야읍, 미세 먼지 차단숲 공조팝 군락지
고령군 모듬내 통문, 미세 먼지 차단숲 공조팝 군락지 고령군은 88올림픽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와 지방도 제26호선, 제33호선 등이 교차하는 교통의 요충지입니다. 이러한 도로망은 물류 이동과 관광객 접근성을 높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수 있지 않을까 하는데요. 특히 대구광역시와 인접해 있어 대구와의 교통이 매우 편리하며, 이는 고령군의 산업과 관광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령군을 통과하는 차량이 많아지면서 배기가스 배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차량 배기가스는 미세먼지,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 다양한 대기오염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대기 질을 악화시키고 주민들의 건.......
